암세포의 정체 ⑥ : 일반 세포의 협력에 의해 생겨난다
암세포는 일반 세포의 협력에 의해 생겨난다

1. 암세포의 주위에는 일반적으로 암 틈새라는
일반 세포에 의한 칸막이벽과 같은 것이 생긴다.
이것으로 인해 암세포는 보호를 받으면서 증식한다.
2. 암 틈새를 구성하는 세포는
선유아(線維芽) 세포나 단핵구인 것이 확인되었다.
3. 암 틈새의 존재는
암세포의 항암제 내성을 높이는 원인의 하나다.

4. 항암제가 투여되면 많은 암세포가 사멸하지만
특히 암 줄기세포라는 암의 근원이 되는 세포는
암 틈새에 의해 보호를 받아 살아남게 된다.
5. 암 줄기세포는 항암제가 몸 속에 주입되는 시기에는
잠시 활동을 중단하게 된다.
그 때 소량의 영양분과 대사산물의 교환은
암 틈새 세포를 통해 이루어진다.
6. 항암제의 대부분은 세포 분열에 따른 DNA 복제와
그 때 활성화되는 대사를 표적으로 하는 것들이기 때문에
세포의 활동이 휴면 상태가 되면 효과가 없게 된다.

7. 이 현상을 보고 "암은 무서운 존재다"라는 생각할 수 있지만
주변의 일반 세포에게는 고마운 세포라고 말할 수 있다.
왜냐하면 주변의 열악한 환경을
암세포가 최선을 다해 정화해주기 때문이다.
체내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는 것은 바로 우리 자신이다.

일본 암 치유 연구소는
일본 선진 암 대체 의료분야의 폭 넓은 네트워크와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표준 치료로부터 소외된 암 난민뿐만이 아니라
고통없이 암을 극복하고 싶은 암 환자분들에게
개개인에 맞는 최고의 치료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반드시 암을 극복해 낼 수 있도록 도움을 드리고 있습니다.
#일본암치유연구소
부산지부 박영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