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U0VCE/btrtRW2Lotb/RVwXKyxHP6RqsMITFdTgq1/img.jpg)
드디어 검사 결과가 나왔다. "자궁경부암입니다. 여명 한 달입니다."라는 말을 주치의에게 듣게 되었다. 병원에 입원해 있는 중에「생명의 암호」라는 책을 읽었다. 다 읽고 나서 놀란 것은 인간의 DNA 중 실제로 우리가 살면서 사용하고 있는 것은 전체의 5% 정도라는 것이었다. "그렇다면 자고 있는 95%의 DNA 중 1%라도 스위치가 켜지면 나도 조금은 나아질게 틀림없을 거야." 그런 생각이 드는 순간 나는 큰 소리로 "만세!"라고 외쳤다. 아픈데 없는 눈, 코, 귀, 입 그리고 다른 장기의 세포들에게 "그동안 내가 아무 일 없이 살 수 있었던 것이 모두 다 너희들 때문이야. 정말 고마워" 라고 감사의 인사를 했다. 물론 암세포에게도 "너도 지금껏 나와 함께 있어줘서 고마워" 라고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Tusa0/btspmVhfiOF/wr3gLRuoKQXnRS75T8c5Xk/img.jpg)
면역은 병원균이나 비정상적인 세포로부터 몸을 지키는 순찰대 와 전투 부대 우리의 몸을 정상상태로 유지시켜주는 면역 시스템은 몸 밖에서 들어오는 병원균이나 체내에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세포를 찾아 "방어"하거나 "공격"하거나 하는 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가 인식은 못 하지만 면역은 실로 치밀하고 놀라울 정도의 역할을 지금도 몸 안에서 하고 있는 중이다. 면역세포의 종류 백혈구 단핵구 ● 대식세포(마이크로 퍼지) 아메바같이 생긴 대식세포는 체내에서 세균을 발견하면 스스로 잡아먹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잡아먹는 것뿐만 아니라 일부 대식세포는 항원(이물질의 특징)을 외부로 전파해 다른 면역세포에 전달도 한다. 다른 면역세포를 활성화시키는 사이토카인(면역세포 간의 정보 교환에 사용되는 물질)이라는 물질을 만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Dh1th/btspOzbxxb3/3bn14y6vcXk5GIcsiAKV3k/img.jpg)
면역이란? 독소나 세균 등의 이물질이 우리 몸에 들어왔을 때 항체(이물질과 반응하는 물질)를 만들어 병이 나는데 이런 발병을 억제하는 능력이 면역이다. 작은 병치레를 반복할 때마다 우리는 그 질병에 면역력이 생기게 된다. 예를 들면 홍역 등 어린 시절에 많이 걸리는 질병은 어른이 되어서도 발병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감기에 걸렸을 때를 생각해 보자. 몸이 오싹하다거나 춥다고 생각하면 바로 열이 나거나 기침이나 재채기를 하게 된다. 이것이 면역 세포가 감기 바이러스와 싸우고 있다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코와 목으로 들어온 바이러스를 몸 밖으로 내보내려고 재채기를 하는 거고 바이러스와 싸우는 면역세포의 영향으로 열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런 모든 게 선천적으로 우리 몸이 가지고 있는 기능이다. 체내에서 발견..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ebhZ5C/btrkjWj1JOQ/szt5tETDXq5vf0kWnklxhK/img.jpg)
간 내 담관암 재발(65세 남성) 2014년 9월 간 내 담관암 진단 도쿄 의대 부속 병원에서 절제 수술 2015년 7월 재발로 인해 국립 암 센터에서 항암 치료를 시작 치료 효과를 못 보고 중단 2016년 1월 7일 입원해서 온열 화학 요법과 콜로이드 요오드를 시행 아브락산 120mg + 옥살리플라틴 150mg을 3주 1회씩 2사이클 콜로이드 요오드 정맥 주사 200ml를 10일 연속 시행 2016년 2월 14 일 치료 결과가 좋게 나와 퇴원 치료 후 한 달 뒤 CT 검사 결과 현저한 개선이 인정됨 치료에 따른 부작용은 없었다. 간 내 담관암은 간세포암의 항암제와는 달리 췌장암과 같은 항암제가 더 효과적이다. 이 증례에서도 아브락산 및 옥살리플라틴을 사용했지만 콜로이드 요오드 치료를 병용함으로써 항..
- Total
- Today
- Yesterday
- ANK 면역 세포 치료
- 미토콘드리아 활성화 치료
- 암과미토콘드리아
- iNKT 세포 표적 치료
- 미토콘드리아 활성화 요법
- 대식세포 활성화 치료
- 중입자 치료
- 도쿄 에도가와 병원
- 암 극복 솔루션
- 암 완치 통합 치료
- 암 극복 방법
- 암 치료를 위한 생활 지침
- NK면역세포치료
- 암 유전자 치료
- 일본암치유연구소
- 일본 선진 암 치료
- 일본 암 치유 연구소
- 고활성 NK 면역 세포 치료
- 암자연치유
- 미토콘드리아활성화치료
- 암극복솔루션
- 일본선진암치료
- 광 면역 치료 암 유전자 치료
- 일본 면역세포 치료
- 암면역치료
- 광 면역 치료
- 암 면역치료
- 콜로이드 요오드 치료
- 고정밀 방사선 토모 테라피 & 뷰레이 치료
- 암세포의정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